본문 바로가기

전세2

[부동산] 전세 ↔ 월세 전환! 얼마로 전환될까? 슈사! 전월세 전환율에 대해 알아볼게요! 주택임대차보호법 먼저 법령부터 살펴볼게요. 여기서 '대통령령'의 내용은 을 말하는데요. 월차임 전환 시 산정률, 대출금리, 은행법, 기준금리, 등등등등 복잡하죠? 쉽게 정리 해드릴게요! 전월세 전환율 보통 전세에서 월세로의 전환이 많으므로 이런 경우를 예로 들어서 설명할게요. 기존에 전세가 10억이었는데 보증금을 4억으로 전환하게 되면 매월 내는 월세는 얼마가 될까요? 먼저, 6억을 월세로 전환하는 경우이고, 현재를 기준으로 위의 법령을 적용하여 국가가 정한 전월세 전환율은 2.5%입니다. 이는 1년 기준이므로 12로 나누게 되면 월세가 나오게 됩니다. 60,000만원 x 0.025 = 1,500만원 이를 12로 나누게 되면 1,500만원 / 12 = 125만원 .. 2020. 10. 21.
[부동산] 왜 꼭 해야해요?(전입신고&확정일자) 전입신고, 확정일자 부여하시고 오셨죠? 이번에는 이걸 도대체 왜 해야 하는지 알려드릴게요. Why? 소중한 보증금을 지키기 위해! 사실 별일 없으면 날아갈 일도 없어요. 그렇지만 사람 일이라는 게 알 수가 없잖아요. 보통은 집주인의 사유로 집이 경매로 넘어가는 경우에 발생해요. 집주인이 집을 이용해 대출을 받았는데 상황이 여의치 않아 대출을 결국 못 갚게 되는 경우인 거죠. 이럴 때 임차인이 보증금을 지켜내기 위한 것이 -전입신고 -확정일자 부여 예요. 각각 어떤 역할을 하길래 지켜낼 수 있는지 조금 어려울 수도 있지만 법을 아주 잠깐만 볼게요. 전입신고 관련 조문을 한마디로 정리하면 '전입신고를 하면 내 보증금을 누구한테든 주장할 수 있다!' 이거예요. 그러니까 집이 경매로 넘어가더라도 경매받은 사람에.. 2020. 3. 16.